6년여 동안 사업이 지지부진하게 진행되어 오던 평택 브레인시티사업에 대해 경기도가 지구지정해제를 위한 청문회등 행정절차를 내년 2월 28일까지 유예키로 했다. 또, 성균관대학교측은 평택 브레인시티사업이 무산되어도 평택캠퍼스가 설립될 수 있도록 경기도와 평택시에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 주목을 받고있다. 이와 관련, 지난 21일 열린 평택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브레인시티사업의 진행을 묻는 시의원들의 질문에 대해 평택시 손종천 산업환경국장은 경기도, 평택시, 성균관대 등이 같이 합의 했다고 전했다. 경기도와 평택시에 따르면, 도가 11월 중 브레인시티사업 해제를 위한 행정절차를 앞두고 평택시와 성균관대의 의견 청취 차원에서 지난 20일 오전 경기도청에서 김문수 도지사와 김선기 평택시장, 원유철 국회의원, 김준영 성균관대 총장, 전홍택 경기도 경제투자실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조찬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성균관대의 사업해제 유예요구에 대해 경기도와 평택시는 “브레인시티사업과 관련, 향후 평택시에 매입확약, 유사보증, 금융부담 등의 행위를 요구하지 않는 새로운 사업계획 및 자금조달계획을 이행할 것” 을 전제로 유예에 합의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브레인시티 사업에 대해 경기도가 사업지구 해제를 위한 공청회 등 행정절차를 11월에 진행할 방침이었으나, 이날 회의를 통해 행정절차가 미뤄졌으며, 내년 2월 28일까지 사업해제를 위한 행정절차 유예가 결정됐다”고 밝혔다. 뿐만 아니라 도 관계자는 “이 자리에서 성균관대 측은 향후 시행사가 자금조달계획서를 제출치 못해 브레인시티사업이 정상적으로 추진되지 않을 경우, 현 브레인시티조성 예정지가 아니라도 성균관대가 유치될 수 있도록 경기도와 평택시가 행정적 지원을 해 줄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브레인시티 조성사업은 평택시 도일동 일원 495만㎡에 성균관대 신 캠퍼스, 국제공동연구소, 친환경 주거공간이 어우러진 지식기반형 첨단복합산업단지 조성을 골자로 한 사업으로, 지난 2007년 사업 추진에 들어갔으나 시행사인 브레인시티 (주)의 자금조달 미비 등으로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 사업은 당초 지난 2010년 까지 보상을 실시하고, 2013년 말까지 사업을 마치는 것으로 계획되었다. 그러나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국내 부동산경기 침체 및 금융권 위축 등으로 시행사인 브레인시티개발(주)가 사업에 참여할 건설사 및 금융사 등 실수요자들을 찾지 못하면서 사업이 지지부진, 현재 해당지역 주민들의 재산적 피해가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브레인시티 주민대책위와 보상협의회는 “경기도와 평택시는 사전 주민들의 의견수렴 없이 사업지구 해제를 위한 행정절차를 진행하고 있어 답답하 다”며 “사업이 무산될 경우, 해당지역 주민들에 대한 피해 대책에 대해 평택시는 분명히 밝혀야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