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빗 레빈 박사는 밴더빌트 의대 교수였습니다. 그가 의대 다닐 때 가장 두렵게 생각했던 것은 ‘루게릭병’이었습니다. 의대생으로 처음 이 병에 걸린 환자를 접했을 때 담당 의사는 몸서리를 치면서 말했습니다.
“이 사람은 가망 없어. 이제 몸 신경 전체가 마비되어 의사 전달도 못하고, 6개월 안에 죽게 될 거야.”
그런데 46세가 되었을 때 데이빗 박사가 그만 이 병에 걸리고 말았습니다. 다리가 점점 굳어오고, 갈비뼈들이 마비되어갔습니다. 혀가 굳어 말도 할 수 없었고, 책갈피도 넘길 수 없는 몸이 되었습니다. 더 이상 병원에서 일할 수가 없었고, 뛰어난 의학자로서의 미래고 끝난 것같았습니다. 그러나 그의 영혼만은 결코 무너지지 않았습니다.
어느 날, 그는 동료 의사로부터 단 한 개의 스위치만으로 작동하는 컴퓨터에 대하여 들었습니다. 그 스위치는 몸의 작은 근육 하나만이라도 움직일 수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었습니다. 그가 움직일 수 있는 유일한 근육은 눈꺼풀뿐이었습니다. 그 후 4년 동안 그는 눈꺼풀을 원하는 대로 움직이도록 연습했고, 마침내 그 눈꺼풀 근육 하나로 컴퓨터를 다룰 수 있게 됐습니다. 그렇게 하여 가족과 대화할 수 있었고, 친구들과 농담을 주고 받을 수 있었습니다. 글을 쓰고, 원고도 점검할 수 있었습니다. 이후 의학자문 일도 계속 했고, 의대생들도 가르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내분비학에 대한 종합 교과서도 펴냈고, 이로 인해 저명한 상도 받았습니다. 이 모든 것들은 그의 작은 눈꺼풀 근육 하나로 이뤄낸 것입니다. 데이빗 박사는 말했습니다.
“병은 당신의 몸을 힘들게 한다. 그러나 어떻게 당신이 당신 육체뿐이겠는가? 불구는 당신의 다리를 마비시킬 수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당신이 어디 다리뿐이겠는가? 당신의 의지는 당신의 다리보다 크다. 당신의 의지는 당신이 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습니다. 온 몸이 마비되어 쓸모없는 인간처럼 돼버린 육체를 가진 그가 가진 단 두 가지, 움직일 수 있는 눈꺼풀 근육과 결코 포기하지 않은 영혼의 불꽃은 정상적인 사람보다 훨씬 풍성한 인생을 일궈내었습니다. 우리에게 움직이는 눈꺼풀 근육이 있지 않습니까? 그렇다면 우리는 지구를 움직일 수 있는 지렛대를 가진 것과 같습니다.
월남전에 포로가 된 미군들은 포로수용소에서 외롭고 힘든 시간들을 보내며 간신히 살아남았습니다. 그런데 이들 중 많은 수가 단순히 살아남은데 그친 게 아니라 갇혀 있는 시간을 기가 막히게 활용했습니다. 어떤 포로들은 기타 치는 법을 배워서 4,5년간의 포로생활 뒤에는 훌륭한 연주자들이 됐습니다. 사실 수용소 안에는 기타도 없었습니다. 기타를 잘 치는 포로 하나가 긴 막대기에 줄 몇개 달아놓고 가르친 것입니다.
또 밴드에서 키보드를 치던 한 포로는 나무판자에 건반을 그리고 동료들에게 피아노를 가르쳐, 몇년 뒤에 아주 훌륭한 연주자들이 되었습니다. 매일 팔굽혀펴기를 연마한 어떤 포로는 한 번에 4,500번의 팔굽혀펴기를 해서 세계신기록을 세우기도 했습니다. 또 공군 대령 조지 홀은 7년 수용소 기간 동안 매일 골프 스윙을 연습했습니다. 골프채는 당연히 없었고, 긴 나뭇가지 하나 주워서 골프채라고 생각하며 매일 휘둘렀던 그는 미국으로 귀국한지 1주일만에 그는 뉴올리언스 골프 토너먼트에 출전해서 우승했습니다.
여러 인종들이 함께 섞여 포로 생활을 하다 보니 전부 불어, 한국어, 스페인어, 중국어 같은 외국어 2,3개쯤은 자유롭게 구사하게 됐습니다. 4,5년 동안 좁은 공간에서 함께 지내서 의사소통을 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서로의 언어를 습득하게 된 것입니다.
지금 어둡고 외로운 시절을 지나고 있습니까? 그러나 위에 언급한 분들보다는 후 훨씬 낫지 않습니까? 바로 절박한 고통의 순간은 우리 삶의 숨겨진 보석을 끌어내기 위한 시간입니다. 포기하고 싶은 순간을 넘어서고, 한 발자국 크게 내디딜 때 우리 앞에는 생각지도 못한 축복의 햇살이 새로운 길을 비추입니다.
'꿀밤나무아래 > Joh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편의 말 뒤에 나오는 아내의 생각 (0) | 2012.05.23 |
---|---|
호주 시드니에도 코리아타운 지정 (0) | 2012.05.22 |
Steav Jobs의 죽음 (0) | 2012.05.20 |
연습 또 연습 (0) | 2012.05.19 |
마음의 잡동사니 처리 (0) | 2012.05.18 |